맨위로가기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은 니가타현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1997년 개통 이후 조에쓰 신칸센과 연계하여 특급 '하쿠타카'를 운행했으나, 2015년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연장 개업으로 인해 특급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보통 열차 위주로 운영되며, 최고 속도 130km/h로 운행된다. 이 노선은 단선, 직류 1,500V 전철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12개의 역과 7개의 신호장을 갖추고 있다. 호쿠호쿠선은 터널이 많은 지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유메조라'라는 열차 내 영상 상영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주민과 관광객의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쿠에쓰 급행 - 하쿠타카
    하쿠타카는 호쿠리쿠 신칸센의 고속 열차로, 다테 산의 백응 전설 속 흰 매에서 유래되었으며, 최고 260km/h의 속도로 도쿄역에서 쓰루가/가나자와/나가노역을 잇는다.
  • 호쿠에쓰 급행 - 사이가타역
    사이가타역은 니가타현 조에쓰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신에쓰 본선과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의 철도역으로, 호쿠호쿠선 열차는 신에쓰 본선을 경유하여 나오에쓰역까지 직통 운전하며, 니가타현 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역사이자 오가타 구 사이가타 지구의 중심지이다.
  • 199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경산시를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단계별 개통을 거쳐 현재 설화명곡역에서 하양역까지 운행하며 2호선,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향후 금호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 199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 주부 지방의 철도 노선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주부 지방의 철도 노선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HK100형
HK100형 "유메조라" 열차, 구비키 역 - 사이가타 역 구간, 2014년 9월
노선 이름호쿠호쿠 선
로마자 표기Hokuhoku-sen
한자 표기北越急行ほくほく線
노선 종류보통 철도(재래선, 제3섹터 철도)
노선 색상#E8204E
노선 기점무이카마치역
노선 종점사이가타역
역 수12개 역
개업일1997년 3월 22일
소유자호쿠에쓰 급행
운영자호쿠에쓰 급행
사용 차량HK100형
노선 길이59.5km
궤간1,067mm
선로 수단선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최대 경사33퍼밀
최소 곡선 반지름400m
폐색 방식단선 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ATS-P
최고 속도130km/h (정기 열차 최고 속도는 95km/h, 2015년 3월 13일까지 신청 최고 운전 속도는 160km/h)
운영
운영 회사호쿠에쓰 급행
역사
개통1997년 3월 22일
위치 정보

2. 역사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후 1997년 개통된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은 에치고유자와역호쿠리쿠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노선으로, 특급열차 하쿠타카가 운행되었다. 이 노선은 지방 철도로서는 드물게 매년 수억 엔의 흑자를 기록하며, 제3섹터 철도 중에서도 경영 상태가 양호한 편이었다. 그러나 수익의 대부분은 특급열차 운행에 의존하고 있었다.[53]

호쿠호쿠선 건설 초기에는 간토 지방과 호쿠리쿠 지방을 잇는 우등 열차나 화물 열차 운행이 고려되었으나, 국철 재정 위기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 이후 제3섹터 방식으로 건설되면서 여객 전용선으로 변경되었다.[53]

원래 이 노선은 일본 철도부설법에 따라 일본 국철 '호쿠에쓰호쿠 선'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이후 '호쿠호쿠 선'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쇼와 시대 초기부터 철도 부설 운동이 시작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유치 운동이 계속되었다.[54]

연도월일사건
1931년8월지역 관계자들이 철도 부설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하며 운동 시작.
1940년에치고유자와와 연결하는 호쿠에쓰 남선 구상 제기.
1944년시나노가와 발전소 공사선을 연장하는 형태로 마쓰다이와 연결하는 노선 건설 결정, 이후 패전으로 중지.
1950년9월 3일호쿠리쿠-조에쓰 연락 철도(조에쓰 서선) 기성 동맹회 발회식.
1953년2월제9회 철도 건설 심의회에서 지역 의견 불일치로 심의 보류.
8월니가타현 지사 재정으로 호쿠에쓰 북선 채택.
9월기성 동맹회 총회를 남선 측에서 보이콧.
1961년2월 23일남북 양측이 협력 추진 협약 체결.
1962년4월 22일철도 건설 심의회가 조에쓰 서선(호쿠에쓰 북선)을 예정선으로 채택.
5월 12일철도 부설법에 의해 예정 노선에 편입.
1964년4월 22일운수대신이 호쿠에쓰 북선을 조사선으로 지정.
9월 28일공사선으로 승격, 일본 철도 건설 공단에 공사 실시 계획 지시.
1968년3월 28일로쿠카마치 - 도카마치 간 공사 실시 계획 인가.
4월 20일로쿠카마치에서 호쿠에쓰 북선 기공식 거행.[25]
8월 14일로쿠카마치 - 도카마치 간 착공.
1972년10월 11일도카마치 - 사이가타 간 공사 실시 계획 인가.
1973년3월 24일도카마치 - 사이가타 간 착공.
1978년7월 20일정거장 유효장 연장, 슬래브 궤도 채용, 전철화 준비 공사 등을 포함한 공사 실시 계획 변경.
1980년12월 27일일본국유철도 경영 재건 촉진 특별 조치법(국철 재건법) 시행으로 공사 동결.
1982년3월완성된 시설의 보안 공사 완료, 공사 전면 중지.
1983년6월 22일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가 제3섹터화 구상 제시.
1984년3월 1일제3섹터 설립 준비회 설립.
8월 27일호쿠에쓰 급행 창립 총회 개최.
8월 30일호쿠에쓰 급행 주식회사 설립 등기.
11월 8일국철 재건법에 따른 국철 신선 고시.
1985년2월 1일호쿠에쓰 급행이 지방 철도 사업 면허 취득.
2월 25일운수대신이 철도 공단에 공사 실시 계획 지시.
3월 16일철도 공단에 의해 공사 재개.
1988년8월운수성이 호쿠에쓰 급행의 전철화・고규격화를 제창.
1989년3월 28일JR 동일본과 호쿠에쓰 급행 간에 호쿠에쓰 북선 고규격화 기본 협정 체결.
5월 31일호쿠에쓰 급행, 최고 속도를 130km/h로 변경하고, 160km/h 대응 기초 시설 공사 표명.
7월 31일운수대신이 철도 공단에 공사 실시 계획 변경 지시.
10월 2일고규격화 대응 공사 착수.
1996년4월 15일마쓰다이역 구내에서 레일 체결식.
9월 19일HK100형 첫 입선 (최고속도 35km/h).
9월 28일681계 2000번대 첫 입선, 단계적 속도 상승.
10월 7일681계에 의한 160km/h 주행 시험 시작.
1997년3월 22일호쿠호쿠선 개업, 특급 "하쿠타카" 운행 개시.
1998년12월 8일"하쿠타카" 150km/h로 속도 향상.
2002년3월 23일"하쿠타카" 160km/h로 속도 향상.
2004년10월 23일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발생, 전 노선 운휴.
10월 26일사이가타 - 마쓰다이 간 운행 재개.
11월 2일전 노선 운행 재개.
2007년7월 16일니가타현 주에쓰 오키 지진 발생, "하쿠타카" 운행 일시 중지.
2015년3월 14일호쿠리쿠 신칸센 연장 개통으로 특급 "하쿠타카" 폐지, 최고 속도 130km/h로 하향, 초쾌속 "스노 래빗" 운행 개시, 에치고토키메키 철도 상호 운행 개시.[18]
11월 7일이벤트 열차 "초저속 스노 터틀" 운행 (매진).
2016년8월 28일"초저속 스노 터틀" 2탄 운행 (추첨, 경쟁률 3배).
11월 8일사가와 익스프레스 연계 화객 혼재 열차 시운전 공개.
2017년4월 18일야간 보통 열차 1왕복 로쿠카마치 - 우라가와라 간 사가와 익스프레스 화객 혼재 시작.
2018년12월 1일보통 운임 및 통근 정기 운임 10% 인상.
2023년3월 18일초쾌속 포함 모든 쾌속 열차, 오이케 이코이노모리역 통과 보통 열차 등 로쿠카마치 - 사이가타 간 통과 운행 정기 열차 전폐, 평일 운행 열차 1왕복 설정, 최고 속도 95km/h로 하향.[26]


2. 1. 철도 유치 경쟁

쇼와 시대 초기에 이 지방에 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으나, 당시의 도로 제설 체계가 정해지지 않아 겨울철에는 버스 운행이 불가능하여 각 부락이 완전히 고립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철도 연결에 대한 열망이 높아져, 다이쇼 시대에 개통된 구비키 철도와 연계해 호쿠리쿠 본선조에쓰선을 연결하는 철도를 실현하고자 하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당초에는 조에쓰선과의 연결점을 무이카마치로 하고, 신에쓰 본선의 다카마치 또는 나오에쓰로 하는 두 가지 안이 있었다. 그러나 조에쓰선호쿠리쿠 본선을 연결하는 노선의 기능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나오에쓰 쪽 안으로 결정되었다.

한편, 1940년에는 조에쓰선 쪽 접점을 에치고유자와로 옮기자는 안이 나와, 당시의 철도성이 양쪽 안을 실제로 비교 측량하였다. 이 에치고유자와로 접속하는 안이 철도준설법에 규정된 '호쿠에쓰난 선'(北越南線|호쿠에쓰난센일본어)이다. 여기에서 '남북전쟁'이라고 칭해지는 격렬한 유치 경쟁이 벌어지게 되었다.[54] 1944년에는 시나노가와 발전소의 공사 전용선의 형태로 북선 측이 채택되어 공사 예산이 배정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황 악화로 공사가 중지되었다.[5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부터 유치 운동이 재개되었지만, 남북의 대립은 계속되었다. 북선 측은 더 큰 도시를 통과하므로 채산성이 있고, 산사태 지대가 아니어서 방재에도 유리하다는 점을, 남선 측은 거리가 짧고 구배가 작으며, 미개발 자원이나 온천지대를 통과하여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을 각각 주장했다.

1953년 2월에 열린 철도 건설 심의회에서는 현지 의견이 통일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착공안을 보류하였다. 이후 남북 양쪽의 합의에 의해, 니가타현 지사에게 결정을 일임하였으나, 같은 해 8월에 니가타현 지사가 북선을 채택하는 결정을 내리고 9월의 기성동맹회 총회를 남선 측이 보이콧하면서 양측의 싸움이 계속되었다.

1961년에 야쓰노미야정 중심부의 산사태 재해가 발생해 철도 통과에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생기고, 도로 교통의 발달로 철도 유치를 고집할 필요가 없게 되자, 한쪽 노선이 채택되면 반대쪽 노선에서 철도와 연결하는 도로를 정비하는 것을 조건으로, 2월 23일에 북선 측과 남선 측 간의 협약을 체결하고, 일본 국철에 결정을 위임하게 되었다.[55] 이후 1962년 철도 건설 심의회가 북선 측을 예정선에 채택했다.[55]

2. 2. 국철 신선 건설 및 중단

1968년 8월 14일 무이카마치 - 도카마치 간 공사가 시작되었고, 1973년 3월 24일에는 사이가타까지의 나머지 구간도 착공되었다.[56] 그러나 나베타치야마 터널 공사가 난항을 겪으면서 지연되었고, 일본 국철의 경영 악화와 1980년 일본국유철도 경영재건 촉진 특별조치법(국철재건법) 발효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57] 당시 국철재건법의 공사 속행 기준은 추정 상하차량 4,000명/일이었으나, 호쿠에쓰 북선의 예상 운송량은 1,600명/일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2. 3. 제3섹터 방식 건설 재개

국철 재건법에서는 건설이 중단된 지방 철도 신선에 대해, 지역이 '''제3섹터 회사'''를 설립하여 인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규정했다. 이와테현산리쿠 철도처럼 이 방침으로 제3섹터 개업을 달성한 철도도 있었다. 그러나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에 대해서는 철도 경영에 대한 불안과 니가타현 출신인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발언 등으로 연선 자치체는 제3섹터화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1983년 6월 22일 도쿄에서 개최된 호쿠에쓰 호쿠호쿠선 건설 촉진 기성 동맹회 총회에 다나카 가쿠에이가 참석하여, 제3섹터로의 인수안을 내놓았다. 당시 키미 타케오 니가타현 지사는 제3섹터화에 신중했지만, 기성 동맹회 회장인 모로사토 마사노리 도카마치 시장은 다나카 전 총리의 움직임에 호응하여 제3섹터화를 목표로 국가 및 공단과의 접촉을 시작했다.

키미 지사는 "프로인 국철이 해도 안 되는 것을, 아마추어인 현이나 시정촌이 잘 해낼 리가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제3자 컨설턴트를 통해 경영 분석을 실시하고, 제3섹터화는 에치고유자와 - 무이카마치 간과 사이갓타 - 나오에츠 간에서의 국철 접속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컨설턴트는 아키타 내륙 종관 철도 아키타 내륙선에 대해 "영원히 흑자 전환할 전망이 없다"는 가혹한 진단을 내린 회사에 의뢰했다. 그러나 니가타현의 예상과 달리, 컨설턴트는 "5년 만에 단년도 흑자, 10년 만에 누적 흑자"라는 보고서를 제출했고, 국철도 직통 운전을 승낙했다. 1984년 8월 30일 '''호쿠에쓰 급행 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1985년 2월 1일 철도 사업 면허를 취득, 3월 16일 공사가 재개되었다.

제3섹터 철도로서 건설을 재개하면서, 건설 계획이 수정되었다. 기동차에 의한 1량 또는 2량 편성 정도를 상정, 최대 4량 편성으로 하고, 여객 수송만으로 한정하게 되었다.

건설 최대 난관은 노선 중앙에 있는 '''나베타테야마 터널'''이었다. 1986년 2월 24일 굴착이 재개되었지만, 팽창성 지산 때문에 중앙 도갱 선진 공법(먼저 중앙부 도갱을 굴착하는 공법)에서는 강한 토압으로 지주가 좌굴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터널 보링 머신(TBM)을 도입했지만, 굴착 중 토압에 의해 발진 지점보다 앞쪽까지 밀려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후 약액 주입 및 수작업도 실시하는 등, 29개 공법이 구사되었다. 1992년 10월 29일 선진 도갱이 관통했고, 1995년 3월 7일 굴착 완료, 11월 7일 준공되어 개업 전망이 서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구간에는 10년이 넘는 세월과 1460억의 공비가 투입되었고, 호쿠호쿠선의 개업을 좌우한 것은 정치도 채산성 수치도 아닌, 나베타테야마 터널 공사였다고 평가받았다.

2. 4. 고속화 및 특급 열차 운행

1988년 8월, 일본 운수성정비 신칸센 문제로 호쿠리쿠 신칸센 건설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호쿠에쓰 북선을 고속화하여 슈퍼 특급을 운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60] 호쿠에쓰 북선은 원래 우등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높은 규격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다음 해 5월 31일 호쿠에쓰 급행은 JR과의 직통열차 운행을 위해 최고 속도를 95km/h에서 160km/h로 변경하고, 동력 방식을 내연기관에서 전동으로 변경하는 공사 실시 계획 변경을 신청했다.[60] 7월 31일 운수대신이 이를 허가하면서 10월 2일부터 본격적인 고속화 사업이 시작되었다.[60]

추가 건설 비용 310억 엔은 일본철도건설공단의 지방 신칸센 공사비 70억 엔, 간선 철도 활성화사업비 보조금 42억 엔, 호쿠에쓰 급행 출자금 40억 엔, JR동일본 부담금 158억 엔으로 구성되었다.[60]

무이카마치역에서는 에치고유자와역에서 오는 특급 열차가 호쿠호쿠선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건넘선이 추가되었다.[54] 도카마치역은 고가 위에 승강장을 설치하여 급구배와 급곡선 문제를 해결했고, 사이가타역신에쓰 본선 상하선 사이로 내려와 JR선으로 노선을 연장하는 구조로 변경되었다.[54] 또한, 고속화에 걸림돌이 되던 분기기 통과 속도 제한을 완화하기 위해 캔트를 향상시켰다.[54]

1997년 3월 22일, 호쿠호쿠선이 개통되고 특급 하쿠타카 운행이 시작되었다. 노선은 160km/h에 대응하도록 건설되었지만, 기술 검토를 위해 초기에는 140km/h로 운행했다. 이후 1998년 12월부터 150km/h, 2002년 3월부터 160km/h로 단계적으로 속도를 높였다.[61]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오키 지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운행 중단 및 복구 작업이 이루어졌다. 특히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는 계획정전으로 인해 열차 운행 횟수와 편성량을 줄이는 조치가 취해졌고, 이후에도 역과 차내 조명을 줄이는 등 절전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62][63]

일부 열차는 나오에츠 또는 에치고유자와까지 운행한다.

2. 5.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 이후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가나자와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1997년부터 운행되던 특급 '하쿠타카'는 폐지되었다.[6] 이후 호쿠호쿠선은 지역 수송을 중심으로 하는 노선으로 재편되었다.

특급 '하쿠타카' 폐지와 함께 최고 운전 속도는 160km/h에서 130km/h로 낮아졌다. 같은 날, 에치고유자와역나오에쓰역 사이를 운행하는 초쾌속 '스노 래빗'이 운행을 시작했으나, 2023년 3월 18일부로 모든 쾌속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7]

2017년 4월 18일부터는 사가와 익스프레스와 연계하여 야간 보통 열차 1왕복을 통해 로쿠카마치역과 우라가와라역 사이에서 화물과 여객을 함께 운송하는 혼재 운송을 시작했다.

2018년 12월 1일에는 보통 운임과 통근 정기 운임이 10% 인상되었다.

2023년 9월 29일, 니가타현니가타시조에쓰 지역 간 철도 고속화를 위해 호쿠호쿠선을 미니 신칸센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22][23][24]

3. 운행 형태

조에쓰 신칸센과 접속하는 에치고유자와역에서 호쿠리쿠 지방 각 도시를 잇는 특급 하쿠타카가 호쿠호쿠선을 경유했다. 1997년 개업 이래, 이 지역에서 철도로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방면과 간토 지방 방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에치고유자와역에서 열차를 갈아타는 것이 가장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이었다.

1988년, 일본 운수성(현 국토교통성)은 호쿠리쿠 신칸센 건설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호쿠에쓰 북선을 고속화하여 슈퍼 특급을 운행하는 계획을 세웠다.[60] 호쿠에쓰 급행은 JR과의 직통열차 운행을 위해 최고속도를 95km/h에서 160km/h로 높이고, 동력 방식을 내연기관에서 전동으로 변경하는 공사 계획 변경을 신청했다. 운수대신의 허가를 받아 1989년 10월부터 본격적인 고속화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추가 건설 비용 310억 엔은 일본철도건설공단의 지방 신칸센 공사비, 간선 철도 활성화사업비 보조금, 호쿠에쓰 급행의 출자금, JR동일본의 부담금으로 충당되었다.[60]

당초 계획과 달리 무이카마치역, 도카마치역, 사이가타역의 선로 구조가 변경되었고, 분기기 통과 속도 제한 완화를 위해 교행 설비를 갖추고 캔트를 향상시켰다.[54]

1997년 3월 22일, 호쿠호쿠선 개통과 동시에 특급 하쿠타카 운행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기술 검토 문제로 140km/h로 운행했으나, 1998년 12월부터 150km/h, 2000년 3월부터 160km/h 운행을 시작했다.[61] 하쿠타카는 호쿠호쿠선 내에서 최고 속도 160km/h로 영업 운전을 실시했으며, 이는 일본 협궤 철도에서 가장 빠른 속도였다.

특급 외에 쾌속과 각역정차(보통열차)가 운행되었다. 쾌속 열차는 왕복 4회 운행되었으며, 대부분 에치고유자와역 - 나오에쓰역 구간을 왕복했지만, 일부 열차는 무이카마치역사이가타역에서 발착했고, 아라이 역까지 임시 연장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쾌속 및 일반 열차는 HK100형을 사용했으며, 1인 승무 차량으로서는 최고 속도 110km/h와 뛰어난 가감속 성능을 가졌다.

도쿄와 호쿠리쿠를 잇는 노선의 변천. 호쿠호쿠선 개업으로 가나자와 이동(以東)에서는 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역 환승의 「하쿠타카」 루트가 사용되게 되었다.


나오에쓰역에 정차 중인 초쾌속 "스노우 래빗"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으로 특급 하쿠타카 운행이 중단되었다.[4][5][6] 1997년부터 하루 평균 6,900명의 승객을 수송하던 특급 하쿠타카[4][5] 대신, 2015년 3월 14일부터 2023년 3월 18일까지 하루 한 차례 특별 쾌속 열차 '스노 래빗'이 운행되었으며, 이후 모든 쾌속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7]

현재는 보통열차를 중심으로 운행되고 있다.

3. 1. 현재 운행 형태

조에쓰 신칸센에 인접한 에치고유자와역호쿠리쿠 지방의 각 도시를 잇는 특급 열차인 하쿠타카는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 연장 개업으로 폐지되었다. 현재는 보통, 초쾌속, 단체 전용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보통 열차''': 선내 각 역에 정차하며, 대략 매시 1편 운행된다. 나오에쓰역 - 에치고유자와역 간 운행을 기본으로 하며, 일부 열차는 일요일을 중심으로 '유메조라'로 한정 운용되어 터널 주행 시 영상 상영이 이루어진다. 2015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특급 열차 대기가 해소되어 소요 시간이 약 10분 단축되었다.

  • '''초쾌속 "스노우 래빗"''': 2015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을 시작한 초쾌속 열차이다. 에치고유자와역 - 나오에쓰역 간을 1시간에 연결하며, 승차권만으로 탈 수 있는 열차 중 표정 속도가 가장 빠르다. 호쿠리쿠 신칸센과의 경쟁에서 운임과 특급 요금이 1,000엔 이상 저렴한 것을 강조하고 있다.

  • '''단체 전용 열차 (초저속 스노우 터틀)''': 2015년 11월 7일부터 운행되고 있는 단체 전용 열차이다. 일반 열차로 50분 걸리는 거리를 약 4시간에 걸쳐 주행한다. 초쾌속 "스노우 래빗"과 정반대 위치의 열차로, 10km/h 이하의 저속으로 터널을 통과하며, 식사가 포함된 단체 전용 열차로 운행된다.[40]

3. 2. 과거 운행 형태

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역호쿠리쿠 지방 각 도시를 연결하는 특급열차 하쿠타카가 1997년 개통 당시부터 2015년까지 운행되었다.[60][61] 1988년 일본 운수성호쿠리쿠 신칸센 건설 지연 상황에서 호쿠에쓰 북선을 고속화하여 슈퍼 특급을 운행하는 계획을 세웠다. 호쿠에쓰 급행은 1989년 최고속도를 95km/h에서 160km/h로 변경하고, 동력 방식을 내연기관에서 전동으로 변경하는 공사 계획 변경을 신청하여, 1997년 3월 22일 개통과 함께 특급 하쿠타카 운행이 시작되었다.[61] 하쿠타카는 2002년 3월부터 호쿠호쿠선 내에서 최고 속도 160 km/h로 영업 운전을 실시했는데, 이는 일본 협궤 철도에서 가장 빠른 속도였다.[54]

특급 외에 쾌속 및 각역정차(보통열차)가 운행되었다. 쾌속 열차는 왕복 4회 운행되었으며, 대부분 에치고유자와역 - 나오에쓰역 구간을 왕복 운행했지만, 일부 열차는 무이카마치역사이가타역에서 발착했다. 또한, 아라이 역까지 임시 연장 운행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쾌속 및 일반 열차는 HK100형을 사용했으며, 1인 승무 차량으로서는 최고 속도 110 km/h와 뛰어난 가감속 성능을 가졌다.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으로 특급 하쿠타카 운행이 중단되었다.[4][5][6] 1997년부터 하루 평균 6,900명의 승객을 수송하던 특급 하쿠타카[4][5] 대신, 2015년 3월 14일부터 2023년 3월 18일까지 하루 한 차례 특별 쾌속 열차 '스노 래빗'이 운행되었으며, 이 날짜를 기점으로 모든 쾌속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7]

에치고유자와역나오에쓰역 사이에는 하행 2개, 상행 3개의 쾌속 열차가 매일 운행되었다. 가장 빠른 열차는 도카마치역에만 정차하며, 에치고유자와역에서 나오에쓰역까지 57분이 소요되었다.

4. 시설

호쿠호쿠선은 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역호쿠리쿠 지방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특급 열차 하쿠타카 운행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최고 속도 160km/h로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노선은 건널목이 거의 없고, 대부분 고가나 터널로 이루어져 비교적 경사가 적고 직선 주로가 많아 고속 주행에 유리하다.[60]

하지만 단선으로 건설되어 특급 열차 운행 시 일반 열차가 특급 열차를 피해 대피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터널 안에 세 곳의 신호장이 설치되어 있다. 터널 구간이 많은 것은 폭설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눈으로 인한 문제(포인트 전환 불가능, 팬터그래프에 눈 쌓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54]

무이카마치역, 사이가타역, 도카마치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무인역으로 운영되며, 이 역들에서는 열차 통과 시 경고 음향이 울린다.


  • 연장 거리: 59.5km
  • 궤간: 1,067mm
  • 역 수: 12개 (기점, 종점 포함)
  • 최고 속도:
  • 특급: 160km/h (일부 구간 140km/h)
  • 보통·쾌속열차: 110km/h
  • 복선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
  • 전력 공급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V)
  • 최소 곡선 반경: 400m
  • 최고 구배: 33‰
  • 최장 터널: 아카쿠라 터널 (10,472m)
  • 폐색 방식: 단선자동폐색식
  • 보안 장치: ATS-P
  • 운전 지령실: 무이카마치 지령실

4. 1. 최고 속도 160km/h 대응

조에쓰 신칸센에 인접한 에치고유자와역호쿠리쿠 지방의 각 도시를 잇는 특급 열차인 하쿠타카가 운행되기 위해 과거 호쿠호쿠선은 160km/h 운행을 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설비들이 적용되었다.

  • 고속 주행이 가능하도록 선형을 직선에 가깝게 설계하여 터널 구간 비율 증가.
  • 폭설로 인한 문제점(포인트 전환 불가능, 팬터그래프에 눈 쌓임) 방지.
  • 분기기 통과 속도 제한 완화, 캔트 향상.[54]
  • 궤도 강화 (\[\[슬래브 궤도]] 구간 연장, 레일 변경, 도상 두께 증가, 침목 추가).
  • 특급 열차 최대 10량 편성 대응을 위해 플랫폼과 교환역 대피선 유효 길이 연장.
  • 신호 설비 (고속 진행 현시 가능 신호기 설치,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를 ATS-P형으로 변경, 안전 측선 생략).
  • 홈 울타리 설치, 눈 피해 대책 강화, 소음 방지 조치.


1996년부터 시작된 개업 전 시운전에서는 고속 주행 시 차내에서 예상 이상의 기압 변동이 발생했다. 이는 호쿠호쿠선의 터널이 단선 단면이고, 터널 단면이 복잡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쿠호쿠선에서 고속 운전을 하는 특급형 차량은 객실 문이 닫혔을 때 차체에 압착시키는 등의 대책을 실시한 간이 기밀 구조의 차량으로 한정되었다.

이후 기술적 검토를 거쳐 1998년 12월부터 150km/h, 2002년 3월부터 160km/h 운행을 시작했다.[61] 160km/h 주행 가능 구간은 구배 등의 영향으로 제한적이었다. 또한, 기압 변동 완화를 위해 터널 진입 시 130km/h로 속도를 낮추고, 터널 내에서 160km/h까지 가속했다.

4. 2. 구조물

구비키역의 가동 노즈 크로싱


호쿠호쿠선은 고속 운행과 폭설에 대비하여 다양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터널: 14개의 터널이 있으며, 총 연장은 40,342m로 노선 길이의 67.8%를 차지한다. 주요 터널은 다음과 같다.
  • 아카쿠라 터널: 우오누마 언덕 - 신자 간, 10,471.5m (터널 내 아카쿠라 신호장, 미사지마역 위치)
  • 야쿠시토게 터널: 도카마치 - 마쓰다이 간, 6,199.17m (터널 내 야쿠시토게 신호장 위치)
  • 나베타치야마 터널: 마쓰다이 - 호쿠호쿠오시마 간, 9,116.5m (스노 셸터 13m 포함 9,129.5m, 터널 내 기메이 신호장 위치)
  • 키리가타케 터널: 호쿠호쿠오시마 - 무시가와오스기 간, 3,726.98m (스노 셸터 6m 포함 3,732.98m)
  • 제1 이이무로 터널: 우라가와라 - 오이케 이코이노모리 간, 3,287m
  • 교량 및 고가교: 교량 28곳, 고가교 35곳, 가도교 69곳, 선로교 3곳, 구거교 2곳이 있다. 눈 대책으로 개상식 고가교를 채택하고, 일부 구간에는 측벽을 설치하지 않았다. 신자역과 도카마치역 사이 고가교에서는 아카쿠라 터널 용수를 선로 옆으로 흘려 제설한다.
  • 시나노강 교량: 도카마치 - 야쿠시토게 신호장 사이, 406.73m
  • 궤도: 대부분 60kg 레일을 사용하고, 일부 구간은 50kg 레일을 사용한다. 터널 및 고가교 등 약 70% 구간에 슬래브 궤도를 채택했다. 주택 밀집 지역은 자갈 궤도와 콘크리트 침목을 조합하여 소음을 줄였다.
  • 분기기: 본선 고속 통과 구간의 분기기 12조는 가동 노즈 크로싱을 사용한다.[27]
  • 기타:
  • 최소 곡선 반경: 400m (대부분 800m 이상)
  • 최대 구배: 33‰
  • 건널목: 시종착역 구내 2곳에만 존재

4. 3. 역 및 신호장

호쿠호쿠선의 역은 총 12개이며, 무이카마치역, 사이가타역, 도카마치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무인역이다.

교행 설비는 도카마치역, 마쓰다이역, 무시가와오스기역, 구비키역과 아카쿠라 신호장, 야쿠시토게 신호장, 기묘 신호장에 설치되어 있다.

역명영업 거리 (km)환승 노선선로소재지
무이카마치역0.0동일본 여객철도: 조에쓰선미나미우오누마시
우오누마큐료역3.6
미사시마역12.2도카마치시
신자역14.4
도카마치역15.9동일본 여객철도: 이이야마선
마쓰다이역29.2
호쿠호쿠오시마역38.6조에쓰시
무시가와오스기역44.8
우라가와라역46.8
오이케이코이노모리역51.7
구비키역53.6
사이가타역59.5동일본 여객철도: 신에쓰 본선
아카쿠라 신호장
야쿠시토게 신호장
기묘 신호장


4. 4. 폐색 방식

폐색 방식은 단선 자동 폐색식이다.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와 프로그램식 진로 제어(PRC)를 병용하며, 진로 설정에 지장이 되는 요인이 없어지면 30초 만에 진로를 설정할 수 있다.

개업 당시에는 열차 밀도 및 최고 속도 문제와 160 km/h 운전 가능 여부(GG 신호 점등 여부)를 앞에서부터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어, 출발 신호기 8대와 폐색 신호기 22대를 사용하여 폐색 구간을 비교적 짧은 구간으로 설정했으며, 본선의 1폐색 구간 평균 거리는 1,566미터였다.

2015년 3월 14일 이후에는 특급 열차의 160 km/h 운전을 종료했고, 열차 설정 횟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본선에 있는 폐색 신호기는 JR선과 연결되는 무이카마치 - 아카쿠라 신호장 간과 구비키 - 사이가타 간의 각 1곳을 제외하고 사용을 중지했다. 그 외 구간에서는 열차 교환 시설이 있는 역 또는 신호장 사이에 설치되어 있던 복수의 폐색 구간을 통합하여 하나의 폐색 구간으로 했다.[29] 사용이 중지된 폐색 신호기는 2016년도 중에 모두 철거되었지만, 장대 터널 내에서 주행 위치를 운전사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전 폐색 신호기가 있던 곳에 노란색 원의 반사판과 숫자 표시의 "지점 표지"를 순차적으로 신설했으며, 지점 표지에서의 확인 환호를 새롭게 마련했다.

4. 5. 보안 장치

ATS-P형 자동 열차 정지 장치가 도입되었다. 과거에는 130km/h 이상 주행을 허가하는 GG 신호 (고속 진행 현시)가 사용되었다.

4. 6. 전력 설비

160km/h 주행을 고려하면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는 교류 전철화가 유리한 점이 많지만, 터널이 내연 동차의 운전을 전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단면이 작고, 직류 전철화에 비해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교류 전철화에 필요한 절연 이격을 확보할 수 없는 점, 앞뒤의 JR선이 직류 전철화라는 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직류 전철화가 채용되었다.[60] 가선 인장 방식에 대해서는 완성된 터널 천장을 일부 파괴한 것 외에, 건설 시기에 따른 터널 단면의 변화점을 이용하여 대응했다.[54]

가선 지지 방식은, 고속 주행 시에도 전차가 안정적으로 급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상 구간에서는 신칸센과 마찬가지로 컴파운드 카테나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61] 그러나 원래 비 전철화 노선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단면적이 작은 터널 내에서는, 상하 치수가 작은 트윈 심플 카테나리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매달기에는 장간 애자라는 특수한 애자를 사용하고 있다.

변전소는 대략 10km 간격으로 무이카마치, 쓰이케, 토카마치, 마쓰다이, 오시마, 우라카와라, 오가타 7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총 출력은 33,000 kW로 하고 있다. 이는 총 연장이 약 60km의 철도 노선으로서는 이례적인 중장비이지만, "하쿠타카" 운행 종료에 따라 설비의 슬림화를 도모하기 위해, 2015년 시점에서 쓰이케 변전소를 폐지하고, 오시마·오가타의 변전소로부터의 수전을 중단함으로써, 사용하는 변전소를 4곳으로 줄일 예정이다. 또한 연선이 유수의 폭설 지대이기 때문에, 일부를 제외하고 변압기 등의 중전 부품은 건조물 내에 수납하는 대책이 시행되어 있다.

4. 7. 눈 대책

앞서 언급했듯이 호쿠호쿠선은 여러 차례의 공사 계획 변경을 거쳐 전 구간 단선, 직류 1500 V 전철로 건설되었다. 그러나 고속 운전을 실시하고 하루에 수십 cm의 적설이 있을 정도의 폭설 지대를 통과하기 때문에 각종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노선 길이의 68%가 터널이지만, 남은 지상 구간에는 여러 가지 눈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책을 개업 당시부터 시행한 결과, 호쿠호쿠선은 연결되는 JR의 노선이 불통이 되었을 때에도 운휴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눈 대책에 미비한 점이 있었던 적도 거의 없다.

  • 눈 제거 도랑: 차량이 제설한 후에도 선로 옆에 눈 벽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비이다. 무이카마치역 구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선로 옆에 도랑을 만들어 지하수를 흘려보낸다. 무이카마치에서는 지하수 채취에 따른 지반 침하가 심각하여 지하수 이용에 제한이 있으므로, 사용 후의 물은 순환 사용된다.

  • 패널식 융설 장치: 차량이 제설한 후에도 선로 옆에 눈 벽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비이다. 지하수에 의해 가열된 부동액을 패널 안에 순환시키는 것으로, 민가나 시설이 주변에 있어서 제설 시에 눈을 던질 수 없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무이카마치역 구내에서는 지하수를 순환 이용하지만, 간에쓰 자동차도를 넘는 장소에서는 취수 제한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를 순환 이용하지 않는다.

  • 융설 피트: 무이카마치역 구내의 건널목 옆에 설치되어 있으며, 레일 사이의 침목 위에 FRP제 트레이를 놓고 지하수를 흘려보냄으로써 열차에 의해 밀려온 선로 내의 눈의 양을 줄인다. 이로 인해 선로에서 건널목 안으로 들어오는 눈이 줄어든다. 앞서 언급한 취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사용 후의 물은 순환 사용된다.

  • 스프링클러: 무이카마치의 차량 기지 구내, 도카마치역 구내 등에 설치되어 있다. 무이카마치에서는 지하수를 이용하지만, 앞서 언급한 취수 제한이 있으므로 사용 후의 물은 순환 사용되며, 차량 기지 내도 노반을 아스팔트 포장으로 하고, 그 위에 밸러스트를 깐 강화 노반으로 하고 있다. 도카마치역 앞의 이이야마선을 넘는 부분은 아카쿠라 터널의 용수를, 도카마치역 구내에서는 야쿠시토게 터널의 용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사용 후의 물은 도카마치 시가지 도로의 융설에 이용된 후, 시나노강으로 방류된다.

  • 열풍 히터: 지하 수맥이 전혀 없어 지하수를 이용할 수단이 없고, 수리권 관계상 강의 물도 이용할 수 없는 마쓰다이역 구내의 분기기에 설비되어 있다. 보일러로 섭씨 100도까지 가열된 온풍을 덕트로 분기기에 이끄는 것으로, 온풍 분사구에서는 섭씨 40도 정도의 온풍이 된다. 마쓰다이 지역에서는 도로의 융설도 물을 이용할 수 없어 로드 히팅이 주를 이룬다.

  • 온수 제트 분사 장치: 분기기의 가동 부분에 눈과 얼음이 막히는 것으로 인해, 분기기의 전환 불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무인역이 대부분인 호쿠호쿠선에서는 즉시 인력으로 대응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전환 불능의 분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온수를 분사하여 빙설을 녹이는 방법을 채택했다. 이 장치는 운행 지령소에서 원격 조작되며, 분사구에서는 섭씨 25도의 온수가 60초간 분사된다. 이 장치는 호쿠호쿠선 본선에 있는 모든 분기기에 설비되어 있다. 강설이 없는 터널 내의 신호장에도 설치된 것은, 통과 차량에서 낙하할 가능성이 있는 눈과 얼음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 제설 기계(모터카): JR에서 양수받은 구식의 제설용 모터카 1대 외에, 호쿠호쿠선 개업 시에 신조한 2대가 준비되어 있다. 신조한 모터카는, 사이가타 방면에 눈을 양옆으로 밀어내는 러셀 헤드, 무이카마치 방면에 선로 옆의 눈 벽을 무너뜨린 후 제설하는 로터리 헤드를 장비하고 있다 외에, 가선에 부착되어 있는 서리나 눈을 제거하기 위해 팬터그래프를 장비하고 있다. 겨울철에는, 이러한 모터카로 야간에 제설 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상 측면의 눈 대책 설비에 대해, 정기 점검을 포함한 총경비는 연간 약 1억이다.

지상 측면 설비 외에도, 선내 열차에 사용되는 HK100형 전동차의 스노우 플라우의 선단 부분은 빗살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2개의 레일 사이의 눈이 압설 상태의 덩어리가 되면 탈선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선단 부분에서 눈을 풀고, 압설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게다가, 앞서 언급한 운행 체제의 일환으로서, 폭설에도 열차의 운행을 함으로써, 선로상에의 적설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호쿠에쓰 급행에서는, "최대의 제설 수단은, 열차를 계속 운행하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5. 이용 현황

호쿠호쿠선 연선은 크게 미나미우오누마 지역(미나미우오누마시 중 구 무이카마치), 나카우오누마 지역(도카마치시의 구 시역), 히가시쿠비키 지역(도카마치시 중 구 마쓰다이정), 평야부(조에쓰시 중 구 정촌부에 해당하는 오시마구, 우라카와라구, 쿠비키구, 오가타구)의 4개 지역으로 나뉜다. 각 지역은 원래 구릉 지대에 의해 격리되어 있었고, 평상시의 유동은 호쿠호쿠선의 루트와 평야부를 제외하고는 일치하지 않는다. 히가시쿠비키 지역은 원래 교통 상황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호쿠호쿠선의 개업에 따라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호쿠호쿠선 개업과 동시에 대중교통 체계의 재구축이 이루어졌다. 호쿠에쓰 급행에 출자하는 버스 사업자인 쿠비키 자동차는 1996년 10월에 히가시쿠비키 지역 자치체와의 공동 출자로 히가시쿠비키 버스의 영업을 개시하여, 호쿠호쿠선 개업 후 각 역 앞에 운행하는 노선을 설정했다. 에치고 교통은 호쿠호쿠선의 열차와 경쟁하는 에치고유자와 - 도카마치 간 노선 버스를 감편했다.

에치고유자와 - 도카마치 구간은 개업으로 인해 보통 열차로도 30분대에 연결되어, 시간 단축 효과와 눈 대책으로 안정적인 수송을 목표로 한 것이 평가받았다.

2011년도(헤이세이 23년도) 수송 밀도는 약 7,780명/일이었는데, 이는 구 국철 노선에서 전환하거나 일본 철도 건설 공단 건설 중인 신선을 계승한 제3섹터 철도 노선 중 아이치 환상 철도선 (약 9,816명/일)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의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수송 실적 (승차 인원): 만 명수송 밀도
(명/일)
특기 사항
통근 정기통학 정기정기 외합계
1996년 (헤이세이 8년)0.1(최소)0.1(최소)16.0(최소)16.2(최소)252(최소)개업
1997년 (헤이세이 9년)5.316.1273.4294.86,783
1998년 (헤이세이 10년)9.024.6265.4299.06,703
1999년 (헤이세이 11년)11.534.1263.9309.56,777
2000년 (헤이세이 12년)11.738.6266.1316.46,887
2001년 (헤이세이 13년)13.138.0272.7323.87,087
2002년 (헤이세이 14년)10.439.9279.5329.87,282
2003년 (헤이세이 15년)10.139.8287.2337.17,403
2004년 (헤이세이 16년)9.437.8279.0326.27,252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발생
2005년 (헤이세이 17년)10.537.2280.3328.07,299
2006년 (헤이세이 18년)10.735.9264.0310.68,081
2007년 (헤이세이 19년)11.241.2319.3371.78,391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 발생
2008년 (헤이세이 20년)11.342.2322.0375.58,600
2009년 (헤이세이 21년)11.947.0306.6365.58,323
2010년 (헤이세이 22년)11.650.0298.3359.98,029
2011년 (헤이세이 23년)12.551.6289.6353.77,780
2012년 (헤이세이 24년)12.455.4324.9392.78,622
2013년 (헤이세이 25년)13.456.3331.8(최대)401.5(최대)8,769(최대)
2014년 (헤이세이 26년)13.7(최대)48.8323.0385.58,371
2015년 (헤이세이 27년)13.650.864.3128.71,543호쿠리쿠 신칸센 개업 이후 1년간 영업
2016년 (헤이세이 28년)12.753.554.5120.71,358
2017년 (헤이세이 29년)12.356.252.8121.31,340
2018년 (헤이세이 30년)12.857.4(최대)56.9127.11,395
2019년 (레이와 원년)12.453.950.8117.11,293
2020년 (레이와 2년)11.2(최소)43.1(최소)19.7(최소)74.0(최소)722(최소)
2021년 (레이와 3년)11.2(최소)46.023.881.0
2022년 (레이와 4년)11.344.436.091.7



철도 통계 연보 각 연도판 및 관내 철도 궤도 사업자 수송 실적 (국토교통성 호쿠리쿠 신에츠 운수국)[43]에서 작성.

호쿠에쓰 급행 호쿠호쿠선의 수입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여객 운임 수입: 천 엔/연도운수 잡수입
(천 엔/연도)
종합계
(천 엔/연도)
통근 정기통학 정기정기 외수하물합계
1996년(헤이세이 8년)1,260(최소)931(최소)139,197(최소)0141,388(최소)11,988(최소)153,376(최소)
1997년(헤이세이 9년)11,21716,8563,166,07103,194,144404,1223,598,266
1998년(헤이세이 10년)16,72226,8633,084,51103,128,096439,3483,567,444
1999년(헤이세이 11년)21,95332,4523,174,41403,228,819522,5943,751,413
2000년(헤이세이 12년)23,60236,4503,185,86003,245,912482,1253,728,037
2001년(헤이세이 13년)26,45237,1813,214,64703,278,280535,9953,814,275
2002년(헤이세이 14년)20,96737,8043,325,36803,384,139564,0073,948,146
2003년(헤이세이 15년)21,78138,2223,290,20703,350,210654,3344,004,544
2004년(헤이세이 16년)21,72937,7953,167,22403,226,748579,6523,806,400
2005년(헤이세이 17년)27,58636,1163,293,04403,356,746771,5444,128,290
2006년(헤이세이 18년)26,72736,3103,620,98903,684,026771,9954,456,021
2007년(헤이세이 19년)27,41740,6153,740,42403,808,456636,0644,444,520
2008년(헤이세이 20년)28,26643,6683,720,73003,792,665622,8694,415,534
2009년(헤이세이 21년)30,35047,5373,522,93203,600,819623,9354,224,304
2010년(헤이세이 22년)32,43451,3493,465,45303,549,236764,2954,313,531
2011년(헤이세이 23년)31,13451,6053,328,84903,411,588854,4224,266,010
2012년(헤이세이 24년)31,74954,6513,732,00703,818,407872,7724,691,179
2013년(헤이세이 25년)32,07851,7963,870,995(최대)03,954,869(최대)946,481(최대)4,901,350(최대)
2014년(헤이세이 26년)34,44048,9483,793,46203,876,850779,9424,656,792
2015년(헤이세이 27년)34,807(최대)49,053326,3810410,241208,194618,435
2016년(헤이세이 28년)30,82752,275294,1610377,263159,126536,389
2017년(헤이세이 29년)30,79655,408285,4801,258372,942148,914521,856
2018년(헤이세이 30년)34,27255,905(최대)301,8121,320(최대)393,309152,863546,172
2019년(레이와 원년)31,97152,567291,1641,320(최대)377,023151,030528,053
2020년(레이와 2년)29,675(최소)45,064(최소)99,232(최소)1,144(최소)175,115(최소)146,915(최소)322,030(최소)



철도 통계 연보 각 연도판에서 작성.

6. 차량

호쿠호쿠선의 열차는 모두 전동차이다.

호쿠호쿠선 내의 보통 열차는 특급 열차 "하쿠타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로컬선의 보통 열차로서는 고속인 최고 속도 110km/h와 뛰어난 가속 성능(3.0km/h/s)이 요구되었다.

;HK100형

: 선내 보통 열차로 개업 당시부터 운용되는 차량으로, 개업 시점에서는 이벤트 겸용차 2량을 포함한 9량을 제조했다. 1999년에 1량, 2003년에 이벤트차 2량이 추가되었다.

: 이벤트차 4량은 "유메조라"라고 불리며, 터널이 많아 경치를 보기 어려운 노선 특성을 활용해 터널 주행 시 차내에서 영상을 상영한다.

: 2003년에 추가된 100번대 "유메조라"만 편운전대 2량 편성이고, 그 외는 양운전대 차량이다.

;과거 특급열차

2015년 3월 13일까지 운행된 특급 "하쿠타카"에는 호쿠에쓰 급행, JR 동일본, JR 서일본의 차량이 사용되었다.

1997년 개업 당시에는 특급 "하쿠타카"가 경유하는 각 회사의 영업 거리를 바탕으로 JR 서일본, 호쿠에쓰 급행, JR 동일본이 4:2:1의 비율로 차량을 운용했다.


  • 681계 2000번대: JR 서일본의 681계와 동일 사양으로 6량 + 3량 편성 각 2편성을 제조. 정비·검사는 모두 JR 서일본에 위탁했으며, 차량 자체도 JR 서일본의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에 상주했다. 호쿠에쓰 급행의 681계는 가와사키 중공업제이지만, 일부 차량은 위탁 제조로 긴키 차량과 니가타 트랜시스가 제조했다.
  • 683계 8000번대: JR 서일본의 683계 0번대를 기본으로, 681계와 일부 사양을 맞춘 차량으로, 2005년에 JR 동일본 담당 차량을 대체하는 형태로 6량+3량 편성 각 1편성을 제조. 간이 기밀 구조를 가지며, 전동차의 캘리퍼식 디스크 브레이크가 특징이다. 호쿠에쓰 급행의 683계는 차체와 전장품을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조하고, 최종 조립을 니가타 트랜시스에서 했다.
  • 485계 3000번대, 1500번대: 개업 당시부터 운행했다. 2005년 다이어 개정으로 호쿠에쓰 급행이 보유한 683계 8000번대로 대체되었다.
  • 485계: 개업 당시부터 운행했다. 2002년 다이어 개정으로 JR 서일본의 681계로 대체되었다.
  • 489계: 임시 열차나 485계, 681계의 대행으로 특급 "하쿠타카"로 운행된 적이 있었다.[46]
  • 681계 0번대: 개업 당시부터 운행했다. 차량 애칭은 "화이트 윙".
  • 683계: 특급 "선더버드"용 4000번대가, 운행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681계 운용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임시 열차 등

  • 115계: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차량이 임시 열차로 운행한 실적이 있다.
  • E129계: 2018년 2월 16일 - 17일에 "제69회 도카마치 눈 축제" 개최에 따른 임시 열차로 운행했다[47]
  • 485계 300·1000번대: ATS-P를 탑재한 T18편성 등이 임시 열차로 운행했다[49]
  • 485계 조이풀 트레인: 수도권 지역에 소속된 오자시키 열차와 니가타 차량 센터 소속의 NO.DO.KA가 임시 열차로 운행했다[50]
  • E653계 1000번대: 임시 열차로 운행 실적이 있다[51]
  • HB-E300계 (리조트 뷰 후루사토): 2013년 11월 16·17일에 임시 열차 "호쿠호쿠 한 바퀴 일주호"로 운행했다。
  • E491계 (East i-E): 종합 검측차.
  • 583계: 동계에 "슈풀호"로 운행했다.
  • ET122형 기본 번대: 2017년 9월 10일에 호쿠호쿠선 개업 20주년 기획으로 "호쿠호쿠 SAKE Lovers호"가 운행했다.
  • ET122형 1000번대 (에치고토키메키 리조트 세츠게츠카): 2018년 9월 7일에 특별 운행 "대지의 예술제·사토야마 기행"으로 운행했다.[52]

6. 1. 현재 사용 차량

HK100형이 사용되고 있다.

  • '''HK100형'''[8]

:1997년 개통 이후 니가타 트랜시스에서 제작되어 에치고유자와 ~ 나오에쓰 구간의 완행, 쾌속, 특급 '스노우 래빗' 열차에 사용된다.[8] 160km/h 노선에서 최고 속도 110km/h로 운행하며, '하쿠타카' 열차 운행의 지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3.0km/h/s의 빠른 가속 성능을 가진다.

HK100형
종류차량 번호비고
일반 차량HK100-0단일 차량 10량
이벤트 겸용차
(유메조라)
HK100-100영구 2량 편성 열차 1대
HK100-02량 (유메조라 II로 개조)



'유메조라' 영상 투사 열차를 위한 영구 2량 편성 HK-100-100 열차


'유메조라'(ゆめぞら|유메조라일본어)는 터널 주행중에 열차 안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이다. 주로 금요일, 토요일, 공휴일에 운행하며, 계절에 따라 다른 영상이 상영된다.

6. 2. 과거 특급 열차 사용 차량

2015년 3월 13일까지 운행된 특급 "하쿠타카"에는 호쿠에쓰 급행, JR 동일본, JR 서일본의 차량이 사용되었다.

1997년 개업 당시에는 특급 "하쿠타카"가 경유하는 각 회사의 영업 거리를 바탕으로 JR 서일본, 호쿠에쓰 급행, JR 동일본이 4:2:1의 비율로 차량을 운용했다. JR 서일본은 681계와 485계, 호쿠에쓰 급행은 681계, JR 동일본은 485계를 사용했다.

2002년 다이어 개정에서 JR 서일본의 485계는 681계로 대체되었고, 485계를 운용하는 것은 JR 동일본뿐이었다. 485계의 한정 운용은 전체 운행 효율을 떨어뜨렸고, 681계와의 서비스 격차를 승객들이 지적하면서, 호쿠에쓰 급행과 JR 동일본의 협의로 JR 동일본의 485계는 호쿠에쓰 급행이 새로 만든 683계로 대체되었다.

모든 차량은 특급 "하쿠타카"로 운용되었다. 호쿠에쓰 급행의 특급형 차량은 JR 서일본 차량과 동일한 형식으로 제조되었다. 이는 차량 선정 단계에서 160km/h의 고속 주행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 JR 서일본의 681계밖에 없었고, 완전히 새로운 형식을 제조하는 것은 회사의 능력상 무리였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회사로부터 직통 운전뿐만 아니라 자사 차량을 보유하게 된 것은, 각 회사 간 협의에서 "대규모 상호 직통 운전을 하려면 각 회사가 초기 설비 투자를 하는 것이 절대 조건"이었고, 과거에 경험이 없는 고속 운전을 위해 장기간 시험이 필요했지만, JR 서일본의 차량을 장기간 빌리는 것은 어려웠기 때문이다.

호쿠에쓰 급행 소속 차량은 독자적인 빨간색을 기본으로 한 도색, "스노우 래빗 익스프레스"(Snow Rabbit Express)라는 차량 애칭을 가졌고, 차체에는 "SRE"와 눈토끼 로고 마크가 새겨져 있었다. 운용도 처음에는 구별되었지만, 2002년 3월 다이어 개정 이후에는 JR 차량과 공통으로 운용되었다.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 후에는 모든 차량이 같은 날 JR 서일본에 양도되어[44], 주로 "시라사기", "노토 카가리비", "다이나스타"로 운용되고 있다. 도색도 같은 해 6월 초까지 순차적으로 "시라사기"용 도색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45]

  • 681계 2000번대: JR 서일본의 681계와 동일 사양으로 6량+3량 편성 각 2편성을 제조했다. 정비·검사는 모두 JR 서일본에 위탁했으며, 차량 자체도 JR 서일본의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에 상주했다. 호쿠에쓰 급행의 681계는 가와사키 중공업제이지만, 일부 차량은 위탁 제조로 긴키 차량과 니가타 트랜시스가 제조했다.
  • 683계 8000번대: JR 서일본의 683계 0번대를 기본으로, 681계와 일부 사양을 맞춘 차량으로, 2005년에 JR 동일본 담당 차량을 대체하는 형태로 6량+3량 편성 각 1편성을 제조했다. 간이 기밀 구조를 가지며, 전동차의 캘리퍼식 디스크 브레이크화가 이루어진 점이 다른 683계와의 차이점이다. 호쿠에쓰 급행의 683계는 차체와 전장품을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조하고, 최종 조립을 니가타 트랜시스에서 했다.
  • 485계 3000번대, 1500번대: 개업 당시부터 운행했다. 2005년 다이어 개정으로 호쿠에쓰 급행이 보유한 683계 8000번대로 대체되었다.
  • 485계: 개업 당시부터 운행했다. 2002년 다이어 개정으로 JR 서일본의 681계로 대체되었다.
  • 489계: 임시 열차나 485계, 681계의 대행으로 특급 "하쿠타카"로 운행된 적이 있었다.[46] 그 외, 급행 "노토"가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의 영향으로 임시로 호쿠호쿠선을 경유하여 운행되었을 때 운행한 적이 있다.
  • 681계 0번대: 개업 당시부터 운행했다. 차량 애칭은 "화이트 윙". 개업 초에는 호쿠에쓰 급행 차량과 운용을 구분했지만, 2002년 3월 다이어 개정 이후에는 공통 운용이 되었다. 2015년 3월 다이어 개정 전후로, 같은 해 6월 초까지 일부를 제외하고 "시라사기"용 도색 디자인으로 변경, 전용되었다.
  • 683계: 특급 "선더버드"용 4000번대가, 다이어 혼란 등의 상황에서 운용상의 이유로 681계 운용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고속 운전에는 대응하지 않아 최고 속도는 130km/h가 되지만, 신칸센 접속에 영향을 줄 정도의 대폭적인 지연은 되지 않았다.

6. 3. 임시 열차 등

다음은 "하쿠타카" 외에 운행 실적이 있거나 예정된 차량이다.

  • 115계: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차량이 임시 열차로 운행한 실적이 있다.
  • E129계: 2018년(헤이세이 30년) 2월 16일 - 17일에 "제69회 도카마치 눈 축제" 개최에 따른 임시 열차로 운행했다.[47] 2017년(헤이세이 29년) 12월 15일에는 무이카마치역 - 마쓰다이역 구간에서 시운전이 실시되었다.[48]
  • 485계 300·1000번대: ATS-P를 탑재한 T18편성 등이 임시 열차로 운행했다.[49]
  • 485계 조이풀 트레인: 수도권 지역에 소속된 오자시키 열차와 니가타 차량 센터 소속의 NO.DO.KA가 임시 열차로 운행했다.[50]
  • E653계 1000번대: 임시 열차로 운행 실적이 있다.[51]
  • HB-E300계 (리조트 뷰 후루사토): 2013년 11월 16·17일에 임시 열차 "호쿠호쿠 한 바퀴 일주호"로 운행했다.
  • E491계 (East i-E): 종합 검측차.
  • 583계: 동계에 "슈풀호"로 운행했다.
  • ET122형 기본 번대: 2017년 9월 10일에 호쿠호쿠선 개업 20주년 기획으로 "호쿠호쿠 SAKE Lovers호"가 운행했다. 이벤트 대응 차량 "3시의 꽃호"(ET122-8)가 사용되었으며, 운행에 앞서 2017년 8월부터 해당 노선에서 훈련 운전이 수차례 실시되었다.
  • ET122형 1000번대 (에치고토키메키 리조트 세츠게츠카): 2018년 9월 7일에 특별 운행 "대지의 예술제·사토야마 기행"으로 운행했다.[52]

7. 각주

[15][16][17][18][19][21][26]

참조

[1] 웹사이트 北越急行ほくほく線、開業20周年で記念カード配布 3月22日 https://response.jp/[...] 2017-03-03
[2]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s://www.hokuhoku[...] 2024-02-08
[3] 간행물 Transformation underwent at Hokuetsu Express Kōyūsha 2017-02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2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2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2
[7] 웹사이트 Timetable|Hokuetsu Express Co., Ltd https://hokuhoku-lin[...] 2023-11-22
[8] 웹사이트 HK100|ほくほく線 北越急行株式会社 https://www.hokuhoku[...] 2023-11-22
[9] 웹사이트 Trains https://hokuhoku-lin[...] Hokuetsu Express Co., Ltd 2020-07-18
[10] 문서 About shareholders https://www.pref.nii[...]
[11] 문서 About making an investment in Hokuetsu Express https://irbank.net/E[...]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뉴스 北越急行、特急廃止響き初の最終赤字 15年3月期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5-06-26
[16] 뉴스 北越急行 5億5800万円赤字 前期単独最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7-06-26
[17] 웹사이트 よくあるご質問 http://www.hokuhoku.[...] 北越急行 2016-07-16
[18] 보도자료 北越急行からえちごトキめき鉄道への乗入れ http://www.hokuhoku.[...] 北越急行株式会社・えちごトキめき鉄道株式会社 2015-02-19
[19] 뉴스 佐川、三セク鉄道で宅配便輸送 トラックを代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6-06-03
[20] 보도자료 ほくほく線 運賃の変更認可申請について http://www.hokuhoku.[...] 北越急行 2018-05-29
[21] 보도자료 運賃改定の実施について https://hokuhoku.co.[...] 北越急行 2018-11-07
[22] 보도자료 第4回高速鉄道ネットワークのあり方検討委員会を開催しました。(令和5年9月27日) https://www.pref.nii[...] 新潟県 2024-03-29
[23] 보도자료 新潟市⇔上越地域の鉄道高速化へ、新潟県が新たに2案 長岡-糸魚川間とほくほく線をミニ新幹線化、時間短縮効果など比較検討 https://www.niigata-[...] 新潟日報社 2023-09-29
[24] 보도자료 「新潟市~上越市」鉄道高速化で4案検討、いっそ新幹線が正解かも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23-10-19
[25] 문서
[26] 웹사이트 2023年3月18日 ほくほく線ダイヤ改正 https://hokuhoku.co.[...] 北越急行株式会社 2022-12-19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보도자료 「超快速列車」の愛称名募集 http://www.hokuhoku.[...] 北越急行株式会社・えちごトキめき鉄道株式会社 2014-11-04
[36] 간행물 平成27年3月14日ほくほく線ダイヤ改正 http://www.hokuhoku.[...] 北越急行株式会社・えちごトキめき鉄道株式会社 2016-07-21
[37] 문서
[38] 논문 弘済出版社
[39] 뉴스 超低速列車「スノータートル」走る 背景に新幹線の存在 新たな道を歩み始めた北越急行 http://trafficnews.j[...] 2016-07-16
[40] PDF 超低速スノータートル運行 http://www.hokuhoku.[...] 北越急行 2016-07-07
[41] 문서
[42] 웹사이트 輸送密度と経常収支率によるグループ分け(平成18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1-01-02
[43] 문서 管内鉄軌道事業者輸送実績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北陸信越運輸局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89系H01編成が“はくたか”を代走 - 鉄道ファン・railf.jp http://railf.jp/news[...]
[47] 웹사이트 第69回十日町雪まつり https://hokuhoku-lin[...] 2018-02-15
[48] 웹사이트 E129系が北越急行に入線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7-12-16
[49] 웹사이트 いよいよ見納め!485系T18編成(国鉄色)を運転します! http://www.jrniigata[...] 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 2015-04-28
[50] 문서 『終幕 NO.DO.KA』運転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9-09-08
[51] 문서 JR東日本E653系、北越急行に初入線…2014年11月1・2日 http://response.jp/a[...] 2014-09-29
[52] 웹사이트 雪月花が「ほくほく線」へ乗入運行をいたします。 https://www.echigo-t[...] えちごトキめき鉄道 2018-06-27
[53] 웹인용 ほくほく博士 13 新潟県中越震災および豪雪でこんなことがありました http://www.hokuhoku.[...] 北越急行 2010-06-19
[54] 서적 제3섹터 신선 고속화의 궤적
[55] 서적 위의 책
[56] 문서
[57] 서적 위의 책
[58] 서적 위의 책
[59] 서적 위의 책
[60] 서적 위의 책
[61] 웹인용 개업까지의 경위・연혁 http://www.hokuhoku.[...] 호쿠에쓰 급행 주식회사 2010-06-19
[62] 문서 호쿠에쓰 급행 공식 블로그 - 2011년 3월 분 http://ensen.hokuhok[...] 2012-03-25
[63] 문서 호쿠에쓰 급행 공식 블로그 - 2012년 1월 분 http://ensen.hokuhok[...] 2012-03-25
[64] 문서
[6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rail.hobidas.[...] 2012-03-19
[6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